1.차단기가 떨어지는 원인
- 과부하 (전기 사용량 초과)
- 한 회로에 전열기, 드라이기, 전자레인지 등 소비전력이 큰 제품이 동시에 사용될 때.
- 차단기(Amp 용량)보다 큰 전류가 흘러서 차단기가 내려감.
- 단락(합선)
- 전선 피복이 손상되었거나, 플러그/콘센트 내부에 이물질이나 습기가 들어가서 (+)와 (–)가 직접 접촉할 때.
- 누전(전기가 새는 현상)
- 가전제품, 전기선로의 절연 불량, 습기 유입 등으로 전기가 외부로 흘러 사람이나 금속체를 통해 빠져나가는 경우.
- 이 경우 누전차단기가 즉시 동작.
2. 점검 및 조치 방법
- 차단기 종류 확인
- 분전함에 있는 메인차단기(누전차단기)인지, 특정 회로(분기차단기)인지 확인.
- 메인이면 집 전체 문제, 분기면 해당 회로/가전제품 문제일 가능성 큼.
- 과부하 점검
- 같은 콘센트나 멀티탭에 고용량 기기를 여러 개 꽂아 쓰지 않았는지 확인.
- 전열기·전자레인지·에어컨은 가능하면 단독 콘센트 사용.
- 가전제품 점검
- 특정 기기를 꽂으면 바로 떨어진다면 그 기기가 고장났을 가능성이 큼.
- 하나씩 분리하고, 차단기를 올린 뒤, 기기를 다시 연결하면서 확인.
- 누전 점검
- 차단기를 올렸을 때 바로 내려간다면, 배선이나 기기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일 수 있음.
- 습기 있는 화장실, 베란다 전기제품, 오래된 전선 주변 먼저 확인.
- 간단한 조치 후에도 반복된다면
- 전문 전기기사에게 점검 요청.
- 배선 피복 손상, 콘센트 내부 탄화, 누전 경로 등은 육안 확인이 어렵고 위험할 수 있음.
- 주의사항
- 차단기를 억지로 계속 올리면 화재 위험 있음.
- 차단기가 계속 떨어진다는 건 "문제를 스스로 차단기가 막아주고 있다"는 뜻 → 억지로 쓰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
- 전기 배선이나 콘센트 분해는 비전문가가 직접 하지 말고 반드시 전기안전공사 또는 전기기사에게 의뢰하세요.
요약~!
전기 차단기 트립(떨어짐) 점검·조치표
단계확인 내용구체적인 방법조치 방법
1 | 차단기 종류 확인 | 분전함에서 메인(전체)인지, 분기(일부 회로)인지 구분 | 메인이면 전체 문제, 분기면 해당 회로/기기 문제로 좁혀감 |
2 | 과부하 여부 확인 | 고용량 가전(전열기, 전자레인지, 드라이기 등) 동시에 사용했는지 | 고용량 가전은 단독 콘센트 사용, 동시에 사용 자제 |
3 | 가전제품 개별 점검 | 모든 플러그 뽑고 차단기 올린 뒤, 하나씩 다시 꽂아보기 | 특정 기기 꽂을 때 바로 떨어지면 해당 기기 불량 가능성 큼 |
4 | 누전 여부 확인 | 차단기 올리자마자 바로 떨어짐 → 배선·기기 누전 의심 | 습기 많은 공간(화장실, 베란다 전등·콘센트 등) 우선 확인 |
5 | 배선/콘센트 점검 | 콘센트 타거나 탄내 여부, 전선 피복 손상 여부 | 육안 확인 가능 시 사용 중지, 전문가 점검 요청 |
6 | 전문가 점검 필요 여부 | 위 단계 후에도 반복되거나 원인 불명 | 전기안전공사(KEPIC) 또는 전기기사 불러 점검 |
주의사항
- 차단기를 억지로 계속 올리면 화재 위험 ↑
- 누전차단기가 자주 떨어진다면 사람 감전 위험도 크므로 신속히 점검 필요
- 내가 사용하는 가전제품이 차단기 및 용량에 대해 과부하인지 확인하는 방법
가전제품의 소비전력(W)를 보고 전류를 계산해 본다. 간단하다.
가정용의 전압은 모두 220V 이므로 소비전력 나누기 전압(220)을 하면 전류값이 나온다.
- 전기히터 1,500 W → 1,500(소비전력) ÷ 220(전압) = 6.82 A
- 드라이어 1,800 W → 1,800(소비전력) ÷ 220(전압) = 8.18 A
- 에어컨 1,500 W → 1,500(소비전력) ÷ 220(전압) = 6.82 A
- 냉장고 150 W → 150(소비전력) ÷ 220(전압) = 0.68 A
가정용 분전반 분기 차단기는 16A 또는 20A 이므로 같은 회로에서 위 전류랑의 합계가 16A가 넘지 않도록
분리하는게 좋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인테리어 전기공사 비용 견적 산출 예시 인테리어 전기공사 비용 (4) | 2025.08.26 |
---|---|
LED 등 등기구 방 등 떨림 깜빡거림 현상 해결 방법 (3) | 2025.08.25 |
승강기 검사 기준 세부 체크리스트 정기검사, 법정기준 확인하기 (1) | 2025.08.20 |
한전 중성선 접지 연결을 통한 접지계산서 제출 생략 접지저항 기준값 10옴 이하 적용 (0) | 2025.07.02 |
전기공사 공사비 산출 방법 자재비 인건비 등 (0) | 2025.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