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3상 모터의 구조 및 회전 원리

by 스터디H 2024. 8. 17.

1. 3상 모터의 구조

3상 모터의 구조

모터가 회전 하는 원리는 스테이터 코어(STATOR CORE)에 전기를 가하여 회전자철심(ROTOR)를 움직이는 원리입니다. 도체로 된 원판의 테두리에서 공간을 두고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원판도 회전하는 현상을 아라고 라는 사람이 발견하였는데 이것을 아라고의 원판 원리라고 부르며, 이 현상이 모터의 회전 원리라고 볼 수 있다. 자석을 빠르게 돌릴 수 없으므로 전기를 이용하여 자석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여 모터를 개발 하였다.


2. 3상 모터의 회로

3상 모터의 회전 원리

아래 그림과 같이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을 감으면 x는 전류가 들어가는 코일이고, ⊙ 은 전류가 나오는 코일 일 때,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코일 주변에 아래 그림과 같은 자기장이 형성됩니다.자기장에 의해 극성이 생기고 극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며 이로 인해 로터가 회전하게 됩니다. 극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게 되는 것이 자석이 회전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 입니다.

3상 모터의 회전 원리
모터 코일 감는 방향(출처 DKM)

 

스테이터 코어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이 감긴 모습

위의 실제 모터 그림과 코일을 감는 방법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을 감을 때 보라색과 같이 코일을 감아주면 8,9,10번의 홈은 전류가 나오는 방향이라고 하면, 19,20,21번의 홈은 전류가 들어가는 방향이 된다.

 

 

댓글